목차
- 변수와 값
- 변수선언과 정의
지난 글에 이어 Java Script 에 대하여 간단한 기본 정보들을 공부해보았다.
◈변수 와 값
수학적 용어로 변수는 변하는 값이라고 하지만 컴퓨터 언어에 있어서는 조금 다르게 생각해봐야한다. 변수는 데이터의 값을 저장하는 공간 정도로 이해하면 앞으로 자바스크립트를 사용하는데 편리 할 것 같다.
자바스크립트에서 코드를 칠때 기본적으로 변수에 대한 이름을 정하고 대입 연산자를 넣어 값을 정해준다.
구조는 아래와 같다.
letNumber = 10 ;
letNumber 는 변수명이며 개발자가 이름을 지정해준다.
' = ' 는 대입 연산자
10 은 값이다.
여기서 대입 연산자 ' = ' 는 수학적으로 같다라는 뜻이 아니라 값을 변수명에 넣어준다라는 개념을 가지면 된다.
◈변수선언과 정의
보통 변수를 선언을 한다고 할 때 현재에는 let 을 자주사용한다. ES5 이전에는 var 이란 예약어를 사용해 선언을 했는데 변수명이 같아도 에러가 나지 않기 때문에 코드가 많아질 경우 유용하지 못하고 실수들이 생겨 ES6 이후 보완하기위해
예약어 let 과 const 가 나왔다.
먼저 '
선언한다'라는 말은 예약어 와 변수명을 표기할 때 선언한다라고 한다.
let (예약어) letNuber(변수명) 의 구조이다.
'정의한다'는 위에 목차에서 설명했던 변수명에 값을 넣어주는 것을 말한다.
letNumber (변수명) = 값 ; 의 구조이다.
let(예약어) letNumber = 값 ; 선언과 정의를 합친 것을 초기화한다라고 말한다.
다시 let 과 const 에 대해 부가적으로 알아보자.
let name = 'javascript';
console.log(name); // javascript
let name = 'react';
console.log(name);
// Uncaught SyntaxError: Identifier 'name' has already been declared
name = 'value';
console.log(name); // value
let 으로 선언하게 되면 중복으로 선언은 되지 않지만 재할당이 가능하다.
const name = 'javascript';
console.log(name); // javascript
const name = 'react';
console.log(name);
// Uncaught SyntaxError: Identifier 'name' has already been declared
name = 'vue';
console.log(name);
// Uncaught TypeError: Assignment to constant variable
const는 재선언과 재할당시에 모두 오류를 같게 된다. const 가 일종의 상수의 개념이며 변하지 않는 값을 가진다.
'Java Scrip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Java Script - '함수' (0) | 2023.07.05 |
---|---|
Java Script DOM & BOM , Prototype (0) | 2023.07.03 |
Java Script 연산자 와 조건문 정리 (16) | 2023.06.29 |
Java Script 객체 와 배열 (0) | 2023.06.28 |
Java Script 란 ? (0) | 2023.06.26 |